티스토리

서문리뷰
검색하기

블로그 홈

서문리뷰

seo-mun.tistory.com/m

다구네 님의 블로그입니다.

구독자
1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눈 내린 들판을 걸어갈 때 눈 내린 들판을 걸어갈 때발걸음을 어지러이 하지 마라오늘 내가 딛는 발자국은반드시 뒷사람의 이정표가 되리니 踏雪野中去(답설야중거)不須胡亂行(불수호난행)今日我行跡(금일아행적)遂作後人程(수작후인정) 臨淵堂(임연당) 李亮淵(이양연)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6. 21.
  • 펀드레이징의 다섯 가지 주요 원칙 1. People give to People to help People(사람들은 사람들을 돕기 위하여 사람들에게 준다) ■ 세 가지 측면 ① “People give” - 기부를 할 것인가 말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기관이 아니라 실제로 숨 쉬고 살아있는 사람이다. - 그들은 관계에 기초하여, 그리고 그 호소가 자금제공자의 이해에 공명하는 정도에 기초하여 결정을 내린다. - 또한 조직의 리더십의 질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린다. ② “People give to people” - 기부자는 기관의 필요에 호응하여 기여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지 않다. 합리적인 사람은 IBM의 빈약한 분기수익을 만회시켜주기 위하여 컴퓨터를 사지는 않는다. 마찬가지로 기부자는 단지 비영리 조직의 결손 때문에 기부하지는 않는다. - 기부..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2. 15.
  • 경락계통 경락계통(經絡系統) 인체의 위아래로 종횡(縱橫)하는 경맥(經脈)과 그 경맥들을 횡(橫)으로 이으며 전신에 퍼져 있는 낙맥(絡脈)을 합한 계통 경맥 십이경맥 장부(臟腑)와 연계되어 기혈운행의 주요 간선이 됨 십이경별 경맥에서 따로 나와 다시 본경(本經)이나 표리관계에 있는 경맥으로 합쳐짐 십이경근 십이경맥과 그 분포가 기본적으로 일치하나, 인체의 모든 근육과 관절을 연결·자양하고 전신운동을 총괄하는 기능을 함. 근육 사이를 순행하며 내장으로는 들어가지 않음 십이피부 십이경맥이 피부에 분포된 부위 기경팔맥 십이경맥을 종횡으로 연결. 임맥, 독맥, 충맥, 대맥, 음교맥, 양교맥, 음유맥, 양유맥 낙맥 십오별락 십이경맥과 임맥, 독맥에 각각 하나의 낙맥, 여기에 비(脾)의 대락(大絡)을 합하여 십오락맥 손락(孫.. 공감수 0 댓글수 2 2023. 11. 25.
  • 뮤추얼리즘(상호주의) 뮤추얼리즘은 1995년 미국 프리랜서 유니온을 만들어 위원장으로 활동해 온 사라 호로위츠의 저작이다. 호로위츠는 프리랜서 유니온을 만들게 된 배경으로 미국으로 이민 온 할아버지 때부터 노동운동을 해온 가족사와 함께, 미국 초기 노동운동의 상호주의 전통을 들고 있다. 여기에 목차와 함께 프롤로그의 일부를 옮긴다. 뮤추얼리즘을 상호주의로 번역하였다.뮤추얼리즘 - 기초에서 새로운 경제 만들기사라 호로위츠. 앤디 키퍼와 함께 목차프롤로그1부. 뮤추얼리즘이란 무엇인가? 1장. “호로위츠는 말한다. 우리는 더 이상 브래지어를 만들지 않을 것이다”: 또는 안전망의 가족사 2장. 초기 상호주의: 자본주의 이전의 이즘 3장. 상호주의 조직: 상호주의의 세가지 룰 4장. 상호주의 생태계: 생물다양성 범위 만들기 5장. 상.. 공감수 0 댓글수 2 2023. 11. 23.
  • 일본 노동자협동조합법 노동자협동조합법 2020년 법률 제78호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법률은 각자가 생활과의 조화를 유지하면서 그 의욕 및 능력에 따라 취업할 기회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현 상황 등을 감안하여 조합원이 출자하고, 각각의 의견을 반영하여 조합의 사업이 이루어지고, 또한 조합원 스스로가 사업에 종사하는 것을 기본원리로 하는 조직에 관하여 설립, 관리 및 기타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다양한 취업 기회를 창출하는 것을 촉진함과 동시에 해당 조직을 통하여 지역의 다양한 수요에 따른 사업을 이루어지는 것을 촉진하여 지속가능하고 활력 있는 지역사회의 실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장 노동자협동조합 제1절 통칙 제2조(인격 및 주소) ① 노동자협동조합은 (이하 “조합”이라 한다)은 법인으로 한다. ②.. 공감수 1 댓글수 0 2023. 11. 22.
  • 일본 노동자협동조합법 목차 2020년 법률 제78호 노동자협동조합법 목차 제1장 총칙 (제1조) 제2장 노동자협동조합 제1절 통칙 (제2조~제6조) 제2절 사업 (제7조 및 제8조) 제3절 조합원 (제9조~제21조) 제4절 설립 (제22조~제28조) 제5절 관리 제1관 정관 등 (제29조~제31조) 제2관 임원 등 (제32조~제50조) 제3관 결산 관계 서류 등의 감사 등 (제51조~제53조) 제4관 조합원감사회 (제54조~제57조) 제5관 총회 등 (제58조~제71조) 제6관 출자 일구좌 금액의 감소 (제72조~제74조) 제7관 계산 (제75조 - 제79조) 제6절 해산 및 청산과 합병 (제80조~제94조) 제2장의 2 특정 노동자협동조합 (제94조의 2~제94조의 19) 제3장 노동자협동조합연합회 (제95조~제123조) 제4장.. 공감수 1 댓글수 2 2023. 11. 21.
  • 오늘날 연대란 무엇인가 라이너 촐(Rainer Zoll)은 책의 서론을 대신하여 연대의 현 상황에 대하여 일곱 가지 테제를 제시한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에게 연대는 집단이나 공동체 내의 연대를 의미한다. 그러나 오늘날 필요한 연대는 동일한 집단이나 공동체에 속하지 않은 사람과의 연대, 즉 타자와의 연대이다. 저자는 이를 '오래된' 연대와 '새로운' 연대로 구분한다. 과연 공동체의 연대와 타자와의 연대를 동시에 이루는 길은 어떻게 가능한가? ① 연대는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 위기라는 개념은 종종 몰락이나 종말과 연결된다. 그러나 위기 현상은 하나의 변화 과정일 수도 있고, 연대의 변화를 표현할 수도 있다. ‘오래된’ 연대 형식은 ‘새로운’ 연대 형식에 의해 바뀔 수도 있을 것이다. ② ‘오래된’ 연대란 동등한 사람들 사이에서.. 공감수 1 댓글수 0 2023. 11. 20.
  • 미국 워커 센터(Worker Center)에 대하여 ◎ 워커 센터(Worker Center) • 저임금 노동자에게 지원을 제공하기 위하여 서비스, 애드보커시, 조직화에 관여하는 공동체 기반 및 공동체 주도 조직 • 대부분의 워커센터는 이주노동자를 지원하기 위한 조직. 일부 흑인 노동자 지원조직 • 새롭게 이주해 온 사람들 생활의 주요 핵심 문제가 일(work)이기 때문에 워커센터라 표현하지만, 생활상의 다양한 의제를 다룸 ◎ 워커센터의 특징 1 • 복지관, 우애조직, 지역 시민권 조직, 노조를 포함하는 미국 초기 시민 단체를 연상시킴 • 사회운동 전통의 정체성, 공동체 조직화 전략 ◎ 워커센터의 특징 2 • 이주민들의 고향에서의 시민적 전통 – 협동조합, 민중교육 ◎ 워커센터의 미션 1. 서비스 제공: 미지급 임금에 대한 법률 대리, 영어교실, 노동권 교.. 공감수 1 댓글수 2 2023. 11. 19.
  • 전노련 공제 알아보기_2 2. 제도에 관하여 Q9. 어떠한 제도가 있는가? A 전노련공제·중립단산공제에는 「조직가입공제」(조합원이 함께 공제종목에 전원 일률의 인원수로 가입하는 제도)와 「개인가입공제」(조직가입공제에 가입한 조합의 조합원 본인과 그 가족이 가입할 수 있는 제도)가 있습니다. 전노련공제·중립단산공제에 가입할 때는 우선 당해 노동조합이 조합원전원으로 조직가입공제에 가입합니다. 거기에 더해 조합원 본인과 그 가족이 각각의 니즈에 맞는 개인가입공제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 조직가입공제 (1) 노동조합활동사고위로공제 ①형 (2) 노동조합활동사고위로공제 ②형 (3) 경조①형 (4) 경조②형 (5) 경조화재형 (6) 조직·생명공제 (7) 조직·의료공제 (8) 조직·교통재해공제 ◎ 개인가입공제 (1) 개인·생명공제 (2) 개.. 공감수 1 댓글수 1 2023. 11. 19.
  • 전노련 공제 알아보기_1 1. 전노련공제란·추진협의회란 Q1. 전노련 공제는 언제·누가·왜 만들었는가? A 1980년대에 들어 노동운동의 우경화가 강해지는 가운데, 기존의 공제사업운동이 노동자공제운동의 본래의 역할을 버리고 수익사업체로 변질되어 버렸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1987년 7월에 JMIU, 전노련·전국일반, 지빠협의회(당시), 화학일반 전관동지본의 4산별이 연대하여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고 진정으로 조합원끼리 서로 돕는 공제운동을 만들기 위해 구 노동공제를 설립하였습니다(당시 가입자는 2,500명. 2013년 3월 현재 17단산·46지방공제회에 가입자 10만명, 창립부터 총급부 총액은 약 90억엔). 또 구 노동공제련은 1990년 10월에 그때까지 결성되어 있던 산별공제회의 연합체로서 결성되었습니다.(2012년 현재..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1. 18.
  • 전노련 공제 핸드북 전노련 공제에 대해 문답식으로 설명하고 있는 2013년에 발행된 전노련 공제 핸드북의 목차입니다. 목차 전노련공제란·추진협의회란 Q1. 전노련 공제는 언제·누가·왜 만들었는가? Q2. 추진협의회는 언제·누가·왜 만들었는가? Q3. 어떻게 운영하고 있는가? Q4. 노동조합공제의 근거가 되는 법률은? Q5. 공제규제 공격이란? Q6. 노동조합이 공제를 하는 의의는? Q7. 민간보험과의 차이는? Q8. 큰 급부가 발생해도 괜찮은가? 2. 제도에 관하여 Q9. 어떤 제도가 있는가? Q10. 화재공제는 지진도 대상이 되는가? Q11. 자동차공제의 구성과 내용은? Q12. 퇴직자는 계속 가입할 수 있는가? 3. 부금·공제금에 관하여 Q13. 어째서 민간보험의 보험료는 높은가? Q14. 왜 전노련공제·중립단단공제의 .. 공감수 1 댓글수 0 2023. 11. 18.
  • 일본 지방 노복협 활동 사례 1. 오키나와현 노복협 – 공노사(公勞使) 일체의 취업 지원 오키나와현 노복협의 설립은 각 현이 1950년대부터 속속 노복협을 탄생시켜 나간 것과 달리 전국에서 가장 늦은 1975년에 설립되었다. 이는 오키나와가 종전 직후부터 1972년 「본토 복귀」까지 미군의 시정하에 놓인 역사를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다른 현에 비해 늦게 출발했다고는 하지만 오키나와현 노복협의 노력은 오늘날 행정 등과 밀접하게 제휴해 취업 지원을 중심으로 한 사회적 포용 활동이 되고 있어 전국적으로도 선진적인 대응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의 배경에는 오키나와현의 사회경제적 상황이 크게 반영되어 있다. 그 특징은 오키나와현이 ① 항상 고실업률이며, ② 청년층(15~39세) 실업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으며, ③ 이혼율도 전국에서 .. 공감수 2 댓글수 1 2023. 11. 12.
  • 일본 노동자복지협의회 역사와 현황 1. 노복협의 역사 생활물자를 모두에게 조달한다 - 노복협의 시작 제2차대전 직후 먹을 것을 포함하여 생활물자가 극단적으로 적었던 시대, 노동자의 생활필수품을 모두에게 조달하고자 노동조합과 생협 등이 중심이 되어 1949년 8월 30일에 노복협의 전신이 설립되고 2014년에는 65년째를 맞는다. 결성될 때는 「중앙물대협(노무자용 물자대책 중앙연락협의회)」이라는 이름으로 「이 협의회를 산업별 단산 및 단산의 상부조직(상부노동단체)의 틀을 넘어...노동자의 생활복지문제 해결을 위한 조직」으로 출발하였다. 이듬해 9월 12일에 「중앙복대협(노동조합 복지대책 중앙협의회)」로 개칭, 「우리는 지금 전국적 노동단체의 복리후생부문의 힘을 통일 결집하여 강력한 연락조정, 지도를 위한 기관으로서 여기에 노동조합 복지대책.. 공감수 1 댓글수 0 2023. 11. 12.
  • 워커즈코프 1. 노동자협동조합 (워커즈코프)란 무엇인가? 일반적인 고용노동은 시장의 경쟁 원리에 근거해 영리를 추구하기 위해 투자자가 「출자」를 하고 경영자가 「경영」을 하고 노동자가 「노동」을 한다. 다소 겹치기는 하겠지만 원칙적으로 투자자, 경영자, 노동자의 역할이 나뉘어 있다. 그러나 워커즈코프는 「출자」를 한 조합원이 「경영」도 「노동」도 삼위일체로 담당하는 것이 특징이다. 협동 노동에서도 리더와 조합원(부하)의 관계는 존재하며 리더의 지시에 따른다. 일을 하고 사회에 참여해 연결고리를 만든다는 의미에서도 언뜻 변함이 없어 보인다. 근본적인 차이는 리더도 조합원(부하)도 같은 조합원으로서 동등하고 노동의 주권성은 개개인의 조합원에게 있으며, 개개인의 결정권과 책임을 지고 있다는 점이다. 워커즈코프·센터 한 .. 공감수 1 댓글수 0 2023. 11. 12.
  • 일본 생협운동의 현황과 전망 일본의 생협은 기능, 활동 구역에 따라 분류된다. 기능별로는 식품 중심의 상품과 서비스를 공급하는 구매생협, 의료 및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복지생협, 공제라는 금융상품을 제공하는 공제생협, 주택 및 택지를 판매·임대하는 주택생협으로 분류된다(표 2-4-1). 활동 구역으로는 구매생협은 지역생협, 직역생협, 거주지직역생협, 학교생협, 대학생협으로 분류되는데, 공제생협도 주로 직역에서 활동하는 전노제와 지역에서 활동하는 코프공제가 있다. 각종 생협은 각각 종별의 전국생협연합회(대학생협련, 전노제, 주택생협련, 코프공제련, 의료복지생협련 등)를 조직하고, 후자는 일본생협련에 가입해 있다. 또 도도부현 단계의 생협 간의 공동행동을 위해서 현생협련(県生協連)에 가맹하고 있다. 그 밖에 지역생협은 복수 현에 걸.. 공감수 0 댓글수 1 2023. 11. 12.
  • 일본형 생협의 특성과 유형 1. 일본형 생협의 특성 일본형 생협은 전후 고도 경제성장기의 경제적 사회적 배경 하에서 형성되었는데, 서구 생협에 비해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1) 주부가 주체 일본형 생협의 제1 특성은 주부가 주체인 조직이라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여성도 가정 내 노동을 담당하면서 농업, 가업, 소매업 등에 종사하며 가계를 지탱해 왔지만, 고도 경제성장 과정에서 대량의 전업 주부층이 생겨나 주부의 비율은 1970년대 중반에 정점에 달했다. 이후 파트타임 노동을 중심으로 여성 고용률은 상승했다. 동시에 여학생 진학률도 60년대부터 급속히 신장해 고등교육 진출도 진행되었다. 1960년대까지 많은 생협에서는 가정회와 부인부가 조직되어 「세대주가 조합원, 운영은 남성, 이용은 여성」이라는 조직구조 하에서 이용자인.. 공감수 1 댓글수 1 2023. 11. 12.
  • 일본 생협운동의 역사적 계보 전후에 있어서의 생협의 재건과 노동자복지사업 일본 생협의 역사는 19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지만 1920년 전후에는 노동운동에 관련한 노동자 지향의 생협, 종업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공장 부속 생협, 중산계급의 사람들에 의해 조직된 시민생협이라는 3개의 유형의 생협이 나타났다. 그러나 중일전쟁에서 태평양전쟁으로 전쟁이 격화하면서 대부분의 생협은 질식되었다. 노동자 지향의 생협은 군국주의적인 정부에 의해 해산되었지만, 한편 시민생협은 1942년의 식량관리법에 의해 배급권을 박탈당하고 그 시설의 다수는 공습으로 파괴되었다. 생협운동의 유산은 전쟁 전의 지도자에 의해 계승되었지만, 생협은 전후 제로에서 시작해야 했다. 종전 직후 식품과 일용품의 극도의 결핍 가운데 생존을 위한 강력한 요구가 .. 공감수 1 댓글수 1 2023. 11. 12.
  • 일본 노동조합 지방 조직 수준에서의 공조 활동_렌고 시즈오카 메이트 사례 「공조」와 「연대」에서 노동조합 지방조직의 의의 말할 필요도 없이 현재의 노동조합은 직역 조직(기업별 조합) → 산별 조직 → 내셔널센터라고 하는 이른바 종적 조직 체제와 직역 조직 → 지역조직(리저널 센터) → 내셔널센터라고 하는 이른바 횡적 조직 체제의 양면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 속에서 「공조」와 「연대」를 담당하는 주체로서 노동조합의 지역조직 검토를 빼놓을 수 없다. 이미 연합은 출범 이후 지방연합회와 지역협의회를 통한 상담활동을 충실히 수행해 실제로도 큰 성과를 냈다. 지역조직은 직역조직이 갖는 공제 같은 멤버십을 기초로 한 공조 기구를 직접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산별조직의 손길이 닿지 않는 중소, 영세조합에 대한 각종 정보나 노동자 자주복지사업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기존의 조합원.. 공감수 1 댓글수 0 2023. 11. 12.
  • 일본 산별 노조 수준의 공조 활동 1. 개관 이미 본 바와 같이 기업별 노동조합에서 공제와 같은 노동자 자주 복지 활동을 할 수 있는 곳은 예외가 있기는 하나 규모가 큰 조합뿐이다. 따라서 많은 중소기업 노조이나 개인 가입 노조에서는 산별 조직의 활동 또는 노동자 자주복지사업단체의 활동 참여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산별조직의 노동자 자주복지 활동은 중요하지만, 산별의 자주복지 활동의 중심은 기업별 노조와 마찬가지로 공제에 있다. 산별 조직이 운영하는 공제는 산별 공제라 한다. 연합 가맹조직을 보면 비교적 큰 조직원을 가진 14개의 산별이 산별 공제를 운영하고 있다. 이들을 조직 형태에서 보면 생협법에 근거하여 협동조합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경우와 노동조합법상의 조직으로서 운영되고 있는 경우의 2종류가 있다. 생협법상 공제조직의 리.. 공감수 1 댓글수 0 2023. 11. 12.
  • 일본 기업별 노동조합의 공조 활동 1. 개관 일본의 노동조합의 기본은 기업별조합이다. 오늘날에는 파트 노동자 등 여러 비정규 종업원을 조합원으로 하는 조합도 많아지고 있지만, 아직 다수는 일정 레벨 이상의 관리직을 제외하고 정규종업원이 조합원이 되고 있다. 조합원 자격을 가진 종업원 전체를 조합원으로 하는 유니온숍 협정을 체결하고 있는 조합도 많다. 대기업에서는 「기업」의 범위에 예를 들면 연결결산의 대상이 되는 그룹 기업을 포함하여 단일조합 또는 연합회조직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기업별조합은 각각의 기업의 주요한 경제활동을 기준으로 산업별 노동조합(산별조직)에 가입하고 또 산별조직을 통하여 연합과 같은 내셔널센터에 가입한다. 그러나 산별조직이나 내셔널센터에 가입하지 않은 소위 순 중립 조직도 적지 않다. 일본에서는 임금, 노동조건을 .. 공감수 1 댓글수 1 2023. 11. 12.
  • 전노제의 과제 「공감·참가·신뢰」를 얻기 위해 전노제는 생활자와 조합원에게 어떻게 보일까. 전노제협회가 실시한 앙케이트 조사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이 조사는 일본의 각종 협동조합에 관한 조사이고 또 전노제는 도도부현 현민공제 등과 함께 「공제생협」으로 분류되어 있어, 전노제 단독의 조사는 아니지만 전노제의 앞으로를 생각하기에는 귀중한 조사 결과가 되고 있다. 이 조사에 의하면 전노제 등의 공제생협에 대하여 근로자와 생활자의 인식은 「잘 알고 있다」부터 「들어본 적 있다」까지 포함하면 90% 이상으로 높지만 「협동조합」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은 34% 정도에 그치고 있다. 대상을 가입자(조합원)만으로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는 41%로 상승하지만, 그럼에도 반수에는 미치지 않는다. 전노제는 「협동조합」이라는 것이 근로자와 .. 공감수 1 댓글수 1 2023. 11. 12.
  • 전노제의 이념과 활동 전노제의 이념 전노제는 50주년(2007년)을 계기로 원점으로 돌아가서 지금까지 50년 동안 길러온 정신과 앞으로의 50년을 소중히 여기는 정신을 재확인하는 전노제의 이념, 「모두 함께 서로 돕는 풍요롭고 안심할 수 있는 사회 조성」을 제정하고, 이념을 장래에 걸친 최상위 개념으로서 변함없는 가치관, 사업 운영에서의 기본적인 가치·태도·신조로 자리매김하였다. 이념인 「모두 함께 서로 돕는 풍요롭고 안심할 수 있는 사회 조성」에는 다음과 같은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모두 함께」 전노제에 모인 조합원, 나아가 모든 노동자·생활자를 의미한다. 또 생협의 이념인 「만인은 하나를 위하여」라는 만인의 의미를 갖고 있다. 나아가 조합원의 자주적 참여를 높여나간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서로 돕기」 노동자의 서로 돕.. 공감수 2 댓글수 0 2023. 11. 12.
  • 전노제의 각종 공제와 운영 상황 생활 리스크에 대응하는 공제 라인업현재는 조합원의 생활 전반에 걸친 리스크로부터 생활을 보호하고 개개인에 맞는 보장설계를 할 수 있도록 ① 유족보장, ② 의료보장, ③ 장애·돌봄보장, ④ 노후보장, ⑤ 주거보장, ⑥ 자동차보상의 6개 분야로 나누어 생애에 걸쳐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각종 공제를 제공하고 있다. 사업 개황2014년도(2014년 6월 1일 ~ 2015년 5월 31일)의 사업 개황에 대해서 살펴보면 보유계약은 계약 건수 3,317만 건, 수입 공제부금 5,959억 엔, 계약고 767조 엔이다. 주력 공제의 계약 건수는 2015년 2월에 「전노제의 스마일 공제(住まいる共済)」로서 제도를 개정한 「화재공제」 「자연재해공제」가 각각 454만~205만 건, 「단체생명공제」 562만 건, 「국민공제」 6.. 공감수 1 댓글수 0 2023. 11. 12.
  • 일본 전노제 역사 노동자 자주복지운동의 출발점 전노제(전국노동자공제생활협동조합연합회)란 인생에서 조우하는 각종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공제사업을 운영하는 생활협동조합이다. 전노제라고 하면 거의 대부분의 사람이 이름 정도는 들어봤을 것이라 생각하고, 또 몇 갠가의 공제를 이용하고 있는 사람도 많지 않을까. 그러나 전노제의 정식명칭을 알고 있는 사람은 적고, 그 속에서 「노동자」라는 말이나 「공제생활협동조합」이라는 말이 포함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그 말의 의미하는 바를 이해하고 있는 전노제의 조합원은 적지 않을까. 왜 「노동자의 공제」인 것일까. 그래서 전노제의 성립, 역사를 간단히 소개하는 것에서 시작해보자. 「공조」에 기초한 공제사업의 필요성은 1950년경 노동조합운동이나 생협운동의 속에서 싹 터왔다. 1950년이라면 전.. 공감수 1 댓글수 1 2023. 11. 12.
  • 노동금고의 사명 「노금·본연의 자세 연구회」의 문제의식 노금협회는 노동금고가 장래에 걸쳐서 담당해야 할 역할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노금·본연의 자세 연구회」를 발족시켜 2011년 10월~2012년 4월에 걸쳐 합계 8회의 연구회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회 보고서(노금협회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가능)는 「가까운 미래의 협동조직금융」을 비롯하여, 「소비 스타일 변화와 노동금고」, 「빈곤 해결을 위해 노동금고가 수행하는 역할」 「고객 중심 마케팅」 등 폭넓은 주제를 다루고 있다. 보고서 전체의 기조는 「노동금고는 일반적 경제거래에서 열위에 놓여 있지만, 멤버 소유의 조직이라는 장에서 멤버를 위해 멤버가 의사결정의 주체가 되어 협동을 통해 경제적·사회적 입장 개선을 지향하는 조직체이다.」(서장)와 같이 노금의 사회적 역할을.. 공감수 1 댓글수 0 2023. 11. 12.
  • 노동금고 활동 현황 노동금고의 상품·서비스 - 일하는 사람들을 위한 금융사업 각 노동금고에서는 노동자 요구에 맞춰 표 2-2-2에 제시한 폭넓은 금융상품·서비스를 갖추고 있다. 노동금고 예금은 노동자의 저축을 많이 결집하면서 정기성 예금 비율이 73.08%(2015년 3월 말, 평잔 기준)로 높아졌다. 특히 재형예금은 2015년 3월말 현재 계약건수 291만건, 저축잔액 3조8,082억 엔으로 재형 취급 금융기관 중 건수·잔액 모두 금융기관 각 업태별 비교에서 1위의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 예금 상품 ・종합계좌 ・보통계금 ・보통예급 무이자형 ・저축예금 ・와이드 정기 ・슈퍼 정기 ・변동금리 정기 ・큰손 정기 ・재형저축(일반재형、재형연금、재형주택) ・에이스 예금(엔드리스형、확정일형、연금형) ・확정기여연금 ・통지예금 ・당좌예금.. 공감수 1 댓글수 1 2023. 11. 12.
  • 노동금고의 이념과 조직 노동금고의 목적, 이념과 운영원칙 노동금고는 노동자 단체 등을 회원으로 하는 협동조직의 복지금융기관이다. 노동금고법 제1조에는 노동금고의 목적으로 「노동조합, 소비생활협동조합 등이 실시하는 복리공제활동을 위하여 금융의 원활을 도모하고, 그 건전한 발달을 촉진하는 동시에 노동자의 경제적 지위 향상에 이바지하는 것」을 내걸고 있다. 노동금고 내부에서는 설립 당시부터 「노금운동은 노동운동의 일환이다」는 생각이 정착되어 있었으나, 이를 노동금고 사업을 위해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1967년에는 「노동금고의 기본이념」이 결정되었다. 여기에 이 기본이념을 현대에 맞게 고쳐 1997년에는 새롭게 노금의 이념이 제정되었다. 노금의 이념 • 노금은 일하는 사람의 꿈과 공감을 창조하는 협동조직 복지금융기관입니다. • 노.. 공감수 1 댓글수 1 2023. 11. 12.
  • 일본 노동금고의 역사 노동조합운동과 생협운동이 낳은 노동금고 노동자가 건강하고 문화적인 최저한도의 생활을 영위하는 데는 물, 에너지, 정보 등과 함께 생활자금, 교육자금, 주택자금 등을 확보하기 위한 금융 접근성 또한 중요한 라이프라인이다. 하지만 2차대전 직후 노동자들은 은행에 예금은 되지만 대출은 받기 어려웠고 재해 질병 등 불시의 지출 때문에 악성 전당포나 고리대금업자에게 희생되는 사람들이 줄을 이었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당시 급속하게 퍼지고 있던 노동조합운동 속에서 노동자 스스로에 의한 금융기관을 설립하려는 움직임이 높아져 1950년 11월에 효고현에서 노동금고(효고현 근로신용조합)가 설립되었다. 또 당시의 심각한 식량난으로 각지에서 생활협동조합이 설립되게 되었다. 그러나 당시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금융난으로 이들 생.. 공감수 0 댓글수 1 2023. 11. 12.
  • MBTI MBTI는 1990년에 한국에 도입되었다.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성격이론이라고 학계에서는 비판하고 있지만, 실제 대부분의 기업들이 MBTI를 도입하고 있다. 사람들 사이에서도 만나면 서로 상대방의 MBTI를 먼저 확인할 만큼 보편화되어 있다. 하지만 MBTI는 성격을 진단하는 검사가 아니다. 개인의 심리적 고유성을 측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검사 자체보다는 전문적인 해석이 훨씬 더 중요하다. 온라인상의 무료검사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지 않은 간소화된 검사로서, 그 결과로 자신의 성격을 규정해서는 안 된다. MBTI에서는 성격유형을 결정하는 기준으로 '선천적 심리 선호경향'을 근거로 하고 있다. 하지만 MBTI 검사는 '자기보고식'이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자신에 대한 인식이 달라져 검사결과.. 공감수 2 댓글수 5 2023. 11. 9.
  • 일본 전노련 규약 생협법에 근거하여 운영되는 전노제와 달리 전노련공제는 노동조합이 직접 운영하는 공제회다. 전노련은 규약에 별도의 항을 두어 전노련공제회를 노조 규약에 근거한 조직으로 운영하고 있다. 전국노동조합총연합(전노련) 규약 전문 노동조합은 노동자가 자신의 요구 실현을 위해 사상과 신념의 차이에 관계없이 자주적, 항상적으로 단결하여 투쟁하는 조직이다. 전국노동조합총연합은 일본 노동조합의 전국적, 전산업적 중앙조직이다. 전국노동조합총연합은 그 통일과 단결을 유지하기 위해 조합 민주주의를 가장 중시한다. 전국노동조합총연합은 자본(기업)·정부·정당으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견지한다. 전국노동조합총연합은 일본 노동조합운동의 적극적 투쟁의 전통을 계승 발전시켜 노동자의 이익·권리옹호, 평화와 민주주의, 사회진보를 위해 투쟁한다.. 공감수 0 댓글수 2 2023. 11. 8.
    반응형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