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미국 워커 센터(Worker Center)에 대하여

다구네 2023. 11. 19. 18:07
728x90

◎ 워커 센터(Worker Center)

  저임금 노동자에게 지원을 제공하기 위하여 서비스, 애드보커시, 조직화에 관여하는 공동체 기반 및 공동체 주도 조직

대부분의 워커센터는 이주노동자를 지원하기 위한 조직. 일부 흑인 노동자 지원조직

새롭게 이주해 온 사람들 생활의 주요 핵심 문제가 일(work)이기 때문에 워커센터라 표현하지만, 생활상의 다양한 의제를 다룸

◎ 워커센터의 특징 1

  복지관, 우애조직, 지역 시민권 조직, 노조를 포함하는 미국 초기 시민 단체를 연상시킴

  사회운동 전통의 정체성, 공동체 조직화 전략

◎ 워커센터의 특징 2

  이주민들의 고향에서의 시민적 전통 협동조합, 민중교육

◎ 워커센터의 미션

   1. 서비스 제공: 미지급 임금에 대한 법률 대리, 영어교실, 노동권 교육, 병원치료, 은행계정과 대부에 대한 접근

   2. 애드보커시: 저임금 산업 연구 및 분석 제공, 법률 제정 및 개정, 모니터링과 고충처리 개선을 위한 정부 대리기관과 공동 작업, 사용자에 대한 소송 제기

   3. 조직화: 지속적인 조직의 건설. 경제적·정치적 변화를 위해 행동하는 노동자에 대한 리더십 개발

워커센터는 조직 모델, 미션, 사업방식에 따라 다름. 하지만 서비스, 애드보커시, 조직화를 통해 미국에서 저임금 이주 노동자를 지원하는 고유한 역할을 수행. “집단적 목소리(collective voice)”를 표현하고 단체 행동(collective action)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워커센터의 수는 노조의 쇠퇴와 병행하여 빠르게 증가. 1992년에는 전국에 5개 미만. 1990년대 초중반에 급속히 성장. 매년 10~20개 등장. 2005년에는 80여개 시, , 농촌 지역에서 최소 139개의 워커센터 존재

9개 주요 워커센터

   The Tenants’ and Worker’ Support Committee(TWSC)

   The Chicago Interfaith Worker Rights Center

   The Coalition for Humane Immigrant Rights of Los Angeles(CHIRLA)

   The Instituto de Educacion Popular del Sur de California(INEPSCA)

   The Carolina Alliance for Fair Employment(CAFÉ)

   The Korean Immigrant Worker Advocates(KIWA)

   The New York Taxi Workers Alliance(NYTWA)

   The Garment Worker Center(GWC)

   Omaha Together One Comnmunity(OTCO)

◎ 워커센터의 특징

  하이브리드: 사회서비스 기관, 우애조직, 복지관 모델, 공동체 조직 단체 유니온, 사회운동조직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조직 요소들을 결합

  서비스 제공: 법률 지원, ESL 교실, 수표 현금화. 건강 클리닉과 같은 다른 기관를 통한 서비스 제공. 고용법, “당신의 권리 알기핸드북 제작 및 배포. 워크숍 wlsgodf

  애드보커시: 저임금 산업의 조건에 대한 연구와 분석 배포, 새로운 노동과 이민법을 위한 로비, 모니터링과 고충처리 개선을 위한 정부 대리기관과 공동 작업, 사용자에 대한 소송 제기

  조직화: 경제적·정치적 변화를 위해 행동하는 노동자에 대한 리더십 개발

  작업장 기반 보다는 장소 기반: 노동조합과 달리 개별 작업장에서 다수 대표성을 조직하거나 협약을 맺는 것이 초점이 아님. 그러나 일부 일용 노동자 센터는 노동자를 사용자와 연결시켜 임금과 작업 조건을 협상함

  강한 민족적 및 인종적 정체성: 대부분의 센터는 이주 공동체에 기반하고 있어 직업이나 산업보다는 종종 민족성이 노동자들이 센터와 관계맺는 주요 정체성이 됨.

  리더십 개발과 내부 민주주의: 대부분의 센터는 리더십 개발과 민주적 의사결정을 아주 강조함.

  민중 교육: 파울로 프레리 및 다른 민중 교육자들의 철학과 교육 방법에 강한 동질성을 보이고, 중남미 해방 운동에 기원을 두고 있는 문해력 써클 등과 같은 모델을 가져옴. 센터들은 교육의 조직화의 핵심이라 봄

  글로벌 운동의 하나라는 정체성

  광범위한 의제

  연합형성: 종교 기관 및 정부 기관들과 동맹을 맺고, 다른 워커센터, 비영리기관, 공동체 조직, 활동과 그룹과 긴밀히 연계

  작고 관여적인 멤버십: 대부분의 워커센터는 멤버십을 자동이 아니라 획득해야 하는 특권으로 봄. 노동자들이 자격을 획득하기 위하여 과정을 밟거나 조직에 관여적이 될 것을 요구함

[참조]  Janice Fine(Rutgers 대학, 2006) 「Worker Centers: Organizing Communities at the Edge of the Dr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