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애 개념의 변화_1
서구에서 우애의 개념은 가족 간 형제 관계를 넘어 중세에는 신 아래 모든 인류의 보편적 유대를 나타내는 개념이었다. 17세기 이후 두 번에 걸쳐 새로운 의미를 얻게 된다. 첫번째 계기는 자연법학자와 계몽주의자에 의한 개념의 세속화인데, 인간의 본성, 인간성의 관념과 결합되어 우애는 세속적 유대로 변화한다. 두 번째 계기는 우애 개념의 정치화인데, 우애는 신이 아닌 인간의 의지에 기초하여 형성된 사회적 집합, 특히 나시옹이나 조국이라는 정치 집합체와 함께 사용되는 개념이 되었다. 프랑스 혁명 이후 우애의 개념은 또 한번 변화를 겪게 된다. 혁명 초기에 우애는 만인의 평등과 인민주권을 실현하다는 혁명의 이념과 결합하여 보편적 인간의 유대를 가리키는 경향이 강했다. 하지만 대외 전쟁과 국내 정파의 대립이 격화..
서문리뷰
2023. 11. 2. 1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