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 출판을 목적으로 일본의 노동자 자주복지운동을 다룬 [공조와 연대]의 본문 텍스트는 모두 다 번역을 해 놓았지만, 계기를 만들지 못하여 중단되어 있는 상태다. 묵혀 두기에는 아까워 꼭 소개하고 싶은 내용을 블로그에 올리고자 한다. [공조와 연대]의 목차는 다음과 같다.
<공조(共助)와 연대 : 노동자 자주복지의 의의와 과제>
(공사) 교육문화협회, 노동자복지중앙협의회 편
목차
발간사
서장 과제와 요약
1. 본서의 목적
2. 자조(自助), 공조(共助), 공조(公助) - 노동자 자주복지의 의의
3. 「공조(共助)」와 노동조합
4. 다단계의 사회 안전망
5. 사회 안전망의 위기
6. 복지 믹스와 「새로운 공공(公共)」
7. 본서의 구성과 요약
제1장 현대와 노동자 자주복지
들어가며
1. 격차·빈곤을 낳은 사회구조의 변화
2. 사회의 변화를 가져온 요인은 무엇인가
3. 시장만능주의에 농락당한 일본사회
4. 협동조합 경제(노동자 자주복지사업)가 수행하는 역할
제2장 노동자 자주복지의 담당자
들어가며
[제1절] 노동조합
1. 기업별 노동조합의 「공조」의 활동
1-1 개관
1-2 미츠코시이세탄 그룹 노동조합 (UA젠센 가맹)
1-3 중부전력노동조합 (전력총련 가맹)
2. 산별 수준의 「공조」 활동
2-1 개관
2-2 UA 젠센의 공제제도
2-3 JAM의 공제제도
2-4 신운전의 노동자공급사업
3. 지방조직에서의 공조와 연대활동 – 연합 시즈오카 메이트를 예로 들어
[제2절] 노동금고
1. 노동금고의 역사
2. 노동금고의 이념과 조직
3. 노동금고의 활동 현황
4. 앞으로의 노동금고의 사명
[제3절] 전노제
1. 전노제란
2. 전노제의 각종 공제와 운영 상황
3. 전노제의 이념과 제반 활동
4. 전노제의 과제와 앞으로
[제4절] 생활협동조합
1. 생협운동의 역사적 계보
2. 일본형 생협의 특성과 유형
2-1 일본형 생협의 특성
2-2 일본형 생협의 세 가지 유형
3. 생협운동의 현상
4. 생협운동의 전망
5. 협동조합의 새로운 전개 – 워커즈코프
5-1 노동자협동조합(워커즈코프)란 무엇인가
5-2 워커즈코프의 역사
5-3 협동 노동을 추진하는 네트워크와 법제화
[제5절] NPO
1. NPO란 무엇인가
2. NPO의 현황
[제6절] 노동자복지협의회(노복협)
1. 노복협의 역사와 현황
1-1 노복협의 역사
1-2 노복협 활동의 현황
2. 지방 노복협의 활동 사례
2-1 오키나와현 노복협 – 공노사(公勞使 ) 일체의 취업 지원
2-2 시즈오카현 노복협 – 종횡으로 폭넓게 연결되는 네트워크
2-3 니가타현 노복협 – 문제 해결의 폭을 넓히는 상담사업의 충실화
제3장 「공조(共助)」에서 「연대」로 – 일본 내외의 선구적 사례
들어가며
[제1절] 일본 국내 사례
1-1 NTT노조 도쿄총지부의 NPO법인 정보노련 도쿄복지센터의 미니·디서비스 사업 – 시작은 조합원의 연말 복지 캠페인
1-2 전기연합 가나가와의 「사회복지법인 전기 가나가와 복지센터」의 장애인 취업이행 지원사업 「포코 아 포코」 - 「고용의 복지」를 실천하다
1-3 야마구치현 노복협 「생활안심넷」의 무료직업소개사업 – 생활 안심은 일터 확보에서
1-4 도쿠시마협 노복협의 「나노하나(유채꽃) 거택 돌봄서비스센터」 - 의료 본위의 돌봄에서 이용자 본위의 돌봄으로
1-5 도쿠시마현 노복협 「도쿠시마 차세대 육성지원센터」 - 노복협의 네트워크로 안심하게 자식 교육시켜 사회만들기
1-6 이시가와 노복협의 라이프 서포트센터 – 생애조합원 구상으로 체인지
1-7 연합 주에쓰 지협이 주력하고 있는 NPO법인 「지역순환 네트워크」 - 학교급식 잔반을 이용한 에코피드 시스템
1-8 이바라키 노복협 - 「만남 서포트 센터」 결혼 지원 사업
1-9 야마가타현 내의 노동단체와 지자체가 연계해 창설한 「고향 장학 대출」 - 지역 인재 육성 기여
1-10 생활클럽 바람의 마을 – 돌봄에서 유니버설 취업으로
1-11 요리소이 핫라인 – 전국 규모로 전개되는 상담 시스템
[제2절] 해외의 사례
들어가며
1. 소셜 인클루젼과 사회적 기업
2. 지역고용정책
3.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연대 제휴
4. 워커즈 캐피탈의 사회적 책임투자
5. 전통적인 노동운동에서 지역사회운동으로
(1) 워킹 아메리카: 개혁을 위한 새로운 조직 – AFL-CIO(미국노동조합총동맹·산업별조합회의) 산하 코뮤니티 조직
(2) 미얀마의 농업노동자 지원사업
보장 노동자 자주복지의 역사
1. 에도시대부터 메이지 초기의 공조(협동조합)의 구조
2. 산업조합법 제정 이후의 협동조합: 일본 최초의 협동조합법 – 위에서 만든 협동조합법
3. 노동조합·노동자 자주복지운동의 탄생과 탄압
4. 다이쇼 데모크라시 하의 노동운동과 노동자 자주복지운동
5. 노동운동·노동자생협에 대한 탄압과 해산 – 다이쇼 말기부터 쇼와 초기 패전까지
6. 전후의 노동운동, 생협, 중앙노복협과 노동금고·전노제의 관계성 – 그 성장
종장 지역에서 「새로운 공조」를 책임진다
- 「노동자 자주복지」가 지향하는 것
서두
1. 「공공공간」이란 무엇인가
2. 생활 수요에 따른 재화·서비스의 공급과 취업·고용기회 창출
3. 사회 참가의 보장
4. 「새로운 공공」의 담당자로서의 노동자 자주복지
칼럼
◎ 4가지 생활 자원
◎ 노동자 자주복지 사업단체로 조직하는 노동조합의 제휴
◎ 노동자 자주복지 사업단체에 근무하는 노동자의 노동조합에 요구되는 역할
◎ 일반사단법인 유니버셜 지연사회창조센터에 대하여
◎ 사회적 기업의 가능한 재원
◎ 소셜 캐피털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