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의 위아래로 종횡(縱橫)하는 경맥(經脈)과 그 경맥들을 횡(橫)으로 이으며 전신에 퍼져 있는 낙맥(絡脈)을 합한 계통
경맥 | 십이경맥 |
장부(臟腑)와 연계되어 기혈운행의 주요 간선이 됨 | ||
십이경별 |
경맥에서 따로 나와 다시 본경(本經)이나 표리관계에 있는 경맥으로 합쳐짐 | |||
십이경근 |
십이경맥과 그 분포가 기본적으로 일치하나, 인체의 모든 근육과 관절을 연결·자양하고 전신운동을 총괄하는 기능을 함. 근육 사이를 순행하며 내장으로는 들어가지 않음 | |||
십이피부 |
십이경맥이 피부에 분포된 부위 | |||
기경팔맥 |
십이경맥을 종횡으로 연결. 임맥, 독맥, 충맥, 대맥, 음교맥, 양교맥, 음유맥, 양유맥 | |||
낙맥 | 십오별락 |
십이경맥과 임맥, 독맥에 각각 하나의 낙맥, 여기에 비(脾)의 대락(大絡)을 합하여 십오락맥 | ||
손락(孫絡) |
별락보다 더욱 가늘게 분포 | |||
부락(浮絡) |
손락에서 갈라져 더욱 얕은 부위를 흐르며 살갗에 분포 |
- 내외를 소통하고 사지와 몸체를 연결
- 기혈을 운행하고 신체를 자양
- 외사(外邪)를 물리치고 신체를 보위
- 병사(病邪)가 침입하는 곳
- 병후(病候)를 반영하는 곳
- 기혈(氣血)과 음양을 조절